반응형
중국철학의 특색
중국철학은 근본태도 위에 있어서 서양철학이나 인도철학과 매우 다르다. 우리들은 반드시 중국철학의 특생을 이해해야만, 서양철학, 인도철학의 관점에서 중국철학을 오해하는데에 이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철학의 이론계통을 강론하기 전에 중국철학의 특색에 대해 토론하는 바가 있어야 한다. 중국철학의 특징에 가장 중요한 것은 셋이고 두번째로 중요한 것이 세가지라 합이 여섯가지이다.
제1, 합지행, 지식과 실천의 통합이다. 사상과 학설 및 생활이 하나로 융합된다. 중국철학가들이 연구를 할 때 실천으로 시작하므로 자신의 실천을 반성하는것으로 시작한다. 최후에도 실천으로 귀일하며 이론은 실천으로 검증된다. 이는 경험으로 체험하여 깨달음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데 학설은 생활과 행동으로 귀착한다.
공자는 말하기를 "무엇을 아는것은 바로 그것을 좋아하는 것보다 못하며, 무엇을 좋아하는 것은 바로 그것을 즐기는 것보다 못하다."라고 했다. 맹자는 말하기를 "군자가 도로써 열심히 실천하여 그치지 않는 것은 스스로 만족하고자 함이니, 스스로 만족하게 되면 생활에 안정을 찾고, 생활에 안정을 찾으면 삶의 도움이 크고, 삶의 도움이 크면 가까운 데에서 교훈을 얻을 때 그 근본을 터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스스로 만족하고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순자는 말하기를 "군자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서 마음으로 드러나고, 사체에 펼쳐져서 동정에서 드러난다. 소곤소곤 이야기하고 미세하게 움직여도 모두 다 법칙이 될 수 있다. 군자의 학문은 역시 그 자신을 아름답게 한다."고 했다.
중국 철학가들은 방법론상 도덕을 수양을 중요시해서 함양을 치지의 방법으로 여겼다. 장자는 말했다. "또한 진인이 있은 다음에야 진지가 있다." 장재는 말했다. "미묘한 작용을 궁구하고 변화를 알아서 지극한 지식을 길러 이루는 것은 생각만 열심히 하여 되는것이 아니므로, 덕을 숭상하는 것 이외에 군자는 지식을 이룰 수가 없다." 정이는 말했다. "사람의 도는 경보다 더한 것이 없고, 지식을 이루고도 경에 처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이 때문에 중국철학에서의 많은 용어들과 이론들은 모두 실천적인 의미를 가진다.
제2, 천과 인은 하나이다. 중국철학의 근본관념중엔 '친인합일'이 있다. 인생의 최고 이상은 자각적으로 천인합일에 도달하는 것이다. 소옹은 말했다. "학문이 하늘과 사람의 관계에 미치지 못하면 학문이라고 말할 수 없다." 정이는 말했다. "도는 처음에 하늘과 사람의 구별이 없지만, 하늘의 입장에서는 하늘의 도가 되며 사람의 입장에서 사람의 도가 된다."
하늘과 사람이 둘이 아니므로 나와 내가 아닌것을 나눌 필요는 없다. 아와 비아는 본래 일체이며 나눌 수도 없다. 중국 철학가들의 우주론은 실제로 내외, 물아, 천인을 나누지 않는것이 근본관점이다.
제3, 진과 선을 하나로 본다. 중국 철학가들이 진리를 지선으로 여기는 것은 진리를 구하는 것이 곧 선을 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서양철학의 본지는 지혜에 대한 사랑이며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목적인데, 중국철학의 본지도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적절한 편은 아니다. 지식의 추구만을 힘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자는 말했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제4, 인생을 중시하고 인식론을 중시하지 않았다. 중국철학가들은 사상과 이론이 생활과 실천으로 귀일되기 때문에 특히 인생의 실제 모습의 탐구와 생활준칙의 논구를 중시했다. 아와 비아를 나누지 않았으므로 외계의 실재도 의심하지 않았다. 외계를 마음속에 종속된다고 여긴 사람은 오직 양간과 왕수인이다.
제5, 깨달음을 강조하고 논증은 중요시 하지 않은 것이다. 중국철학은 형식상의 세밀한 논증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또한 형식상의 이론체계도 없다. 그들은 경험상의 철저한 이해와 실천의 일치를 곧 진리의 증명이라고 여겼다.
제6, 과학에 의존하여 따르지 않았고 또한 종교에 종속되지도 않았다. 고대의 인민은 당연히 천제와 기신을 믿었으나 정식 종교는 없었다. 후에나 도교가 있었고 불교가 수입되었다. 중국철학가들은 종교의 배척을 임무로 삼았다. 공자는 귀신관념을 의심하고 하늘의 관념을 믿었으나 하늘의 도에 관하여 말하지 않았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을 잘 믿었으며 종교적 정신을 지녔다. 노자가 하늘의 존귀한 위치를 타파한 이후 천제를 주재자로 여기는 경향은 거의 없어졌다.
중국에는 예부터 과학의 맹아가 있었으나 성숙한 과학은 없었으므로, 과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철학의 체계를 성립한 경우는 이전의 중국에서는 없었다.
이상 여섯가지 점이 중국철학의 일반적 특색, 즉 중국철학의 일반적 근본경향이며 서양철학 및 인도 철학과 다른 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특징을 이해하지 않으면 중국철학 중의 많은 사상들에 대하여 그 깊은 이치를 밝힐 수 없고 피상적인 이해에 머물러서 그 본질적인 의미를 깨달을 수 없다.
중국철학은 근본태도 위에 있어서 서양철학이나 인도철학과 매우 다르다. 우리들은 반드시 중국철학의 특생을 이해해야만, 서양철학, 인도철학의 관점에서 중국철학을 오해하는데에 이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철학의 이론계통을 강론하기 전에 중국철학의 특색에 대해 토론하는 바가 있어야 한다. 중국철학의 특징에 가장 중요한 것은 셋이고 두번째로 중요한 것이 세가지라 합이 여섯가지이다.
제1, 합지행, 지식과 실천의 통합이다. 사상과 학설 및 생활이 하나로 융합된다. 중국철학가들이 연구를 할 때 실천으로 시작하므로 자신의 실천을 반성하는것으로 시작한다. 최후에도 실천으로 귀일하며 이론은 실천으로 검증된다. 이는 경험으로 체험하여 깨달음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데 학설은 생활과 행동으로 귀착한다.
공자는 말하기를 "무엇을 아는것은 바로 그것을 좋아하는 것보다 못하며, 무엇을 좋아하는 것은 바로 그것을 즐기는 것보다 못하다."라고 했다. 맹자는 말하기를 "군자가 도로써 열심히 실천하여 그치지 않는 것은 스스로 만족하고자 함이니, 스스로 만족하게 되면 생활에 안정을 찾고, 생활에 안정을 찾으면 삶의 도움이 크고, 삶의 도움이 크면 가까운 데에서 교훈을 얻을 때 그 근본을 터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스스로 만족하고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순자는 말하기를 "군자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서 마음으로 드러나고, 사체에 펼쳐져서 동정에서 드러난다. 소곤소곤 이야기하고 미세하게 움직여도 모두 다 법칙이 될 수 있다. 군자의 학문은 역시 그 자신을 아름답게 한다."고 했다.
중국 철학가들은 방법론상 도덕을 수양을 중요시해서 함양을 치지의 방법으로 여겼다. 장자는 말했다. "또한 진인이 있은 다음에야 진지가 있다." 장재는 말했다. "미묘한 작용을 궁구하고 변화를 알아서 지극한 지식을 길러 이루는 것은 생각만 열심히 하여 되는것이 아니므로, 덕을 숭상하는 것 이외에 군자는 지식을 이룰 수가 없다." 정이는 말했다. "사람의 도는 경보다 더한 것이 없고, 지식을 이루고도 경에 처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이 때문에 중국철학에서의 많은 용어들과 이론들은 모두 실천적인 의미를 가진다.
제2, 천과 인은 하나이다. 중국철학의 근본관념중엔 '친인합일'이 있다. 인생의 최고 이상은 자각적으로 천인합일에 도달하는 것이다. 소옹은 말했다. "학문이 하늘과 사람의 관계에 미치지 못하면 학문이라고 말할 수 없다." 정이는 말했다. "도는 처음에 하늘과 사람의 구별이 없지만, 하늘의 입장에서는 하늘의 도가 되며 사람의 입장에서 사람의 도가 된다."
하늘과 사람이 둘이 아니므로 나와 내가 아닌것을 나눌 필요는 없다. 아와 비아는 본래 일체이며 나눌 수도 없다. 중국 철학가들의 우주론은 실제로 내외, 물아, 천인을 나누지 않는것이 근본관점이다.
제3, 진과 선을 하나로 본다. 중국 철학가들이 진리를 지선으로 여기는 것은 진리를 구하는 것이 곧 선을 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서양철학의 본지는 지혜에 대한 사랑이며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목적인데, 중국철학의 본지도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적절한 편은 아니다. 지식의 추구만을 힘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자는 말했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제4, 인생을 중시하고 인식론을 중시하지 않았다. 중국철학가들은 사상과 이론이 생활과 실천으로 귀일되기 때문에 특히 인생의 실제 모습의 탐구와 생활준칙의 논구를 중시했다. 아와 비아를 나누지 않았으므로 외계의 실재도 의심하지 않았다. 외계를 마음속에 종속된다고 여긴 사람은 오직 양간과 왕수인이다.
제5, 깨달음을 강조하고 논증은 중요시 하지 않은 것이다. 중국철학은 형식상의 세밀한 논증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또한 형식상의 이론체계도 없다. 그들은 경험상의 철저한 이해와 실천의 일치를 곧 진리의 증명이라고 여겼다.
제6, 과학에 의존하여 따르지 않았고 또한 종교에 종속되지도 않았다. 고대의 인민은 당연히 천제와 기신을 믿었으나 정식 종교는 없었다. 후에나 도교가 있었고 불교가 수입되었다. 중국철학가들은 종교의 배척을 임무로 삼았다. 공자는 귀신관념을 의심하고 하늘의 관념을 믿었으나 하늘의 도에 관하여 말하지 않았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을 잘 믿었으며 종교적 정신을 지녔다. 노자가 하늘의 존귀한 위치를 타파한 이후 천제를 주재자로 여기는 경향은 거의 없어졌다.
중국에는 예부터 과학의 맹아가 있었으나 성숙한 과학은 없었으므로, 과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철학의 체계를 성립한 경우는 이전의 중국에서는 없었다.
이상 여섯가지 점이 중국철학의 일반적 특색, 즉 중국철학의 일반적 근본경향이며 서양철학 및 인도 철학과 다른 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특징을 이해하지 않으면 중국철학 중의 많은 사상들에 대하여 그 깊은 이치를 밝힐 수 없고 피상적인 이해에 머물러서 그 본질적인 의미를 깨달을 수 없다.
반응형
'철학심리상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tory of Chinese Philosophy (0) | 2004.06.06 |
---|---|
논술2 (0) | 2004.05.22 |
논술요령 (0) | 2004.05.22 |
틀리기 쉬운 어휘 (0) | 2004.05.22 |
독서보고서 (0) | 2004.05.16 |
생각해보자.. (0) | 2004.01.22 |
마음의 철학 기말 (0) | 2003.11.30 |
중세철학사 시험문제 (0) | 2003.11.27 |
철학토론 서류심사 결과, 대진표, 행사에 관한 공지사항 (0) | 2003.11.19 |
제 주장 (짧게) (0) | 200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