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렌지노의 소리상자

반응형
인간관계 사람은 이기적인 존재임은 맞는 것 같다. 나보다 다른 사람을 먼저 챙겨주거나 잘 해줄 때는, 그렇게 했을 때, 내가 기분이 좋고 무언가 돌아오는게 있을 수도 있고, 결국 다 같이 좋으면 좋은거니까. 그게 또한 사랑이라면 나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 그래야 내가 더 행복하니까... 역시 자신의 즐거움과 연관지을 수 있겠다. 어차피 많은 사람들 속에 살아가려면, 인간관계도 중요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린 사람들 사이의 크고 작은 마찰속에 살아가고 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많은 것 같다. 그 중 하나가, 타인으로 인한 섣부른 판단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타인에 대한 뒷담화가 그들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렇게 다른사람의 말을 듣고 그 사람을 판단해 버리면, 그.. 더보기
철학으로 들어가기 철학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길 철학은 인문학의 기초라고 한다. 이는 철학이 매우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플라톤이 최초의 대학을 세우며 분류한 학문에도 제1학문이 철학이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을것이다. 철학을 정의하기란 힘들겠지만, 꼭 정의하자면 '존재에 대한 통일적 탐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최초의 철학자는 누구일까? 바로 세계가 물로 되어있다고 주장한 탈레스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을 물이라는 통일적 주제로 풀려고 한 그의 주장이야말로 철학의 정의에 부합한다. 이후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면서 형이상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철학이 존재에 대한 탐구라면 형이상학은 존재를 존재로서 탐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전체적으로, 또는 맨 처음으로 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다.. 더보기
과 홈페이지 완성 http://home.skuniv.ac.kr/~plato/ 하루종일 이거에 매달린 결과 다 만들었다~ 이제서야 하나 해결; (내홈페이지는 언제-_-;;;;) 더보기
인간관계 사람은 이기적인 존재임은 맞는 것 같다. 나보다 다른 사람을 먼저 챙겨주거나 잘 해줄 때는, 그렇게 했을 때, 내가 기분이 좋고 무언가 돌아오는게 있을 수도 있고, 결국 다 같이 좋으면 좋은거니까. 그게 또한 사랑이라면 나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 그래야 내가 더 행복하니까... 역시 자신의 즐거움과 연관지을 수 있겠다. 어차피 많은 사람들 속에 살아가려면, 인간관계도 중요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린 사람들 사이의 크고 작은 마찰속에 살아가고 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많은 것 같다. 그 중 하나가, 타인으로 인한 섣부른 판단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타인에 대한 뒷담화가 그들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렇게 다른사람의 말을 듣고 그 사람을 판단해 버리면, 그.. 더보기
철학과 나 난 현재 서경대학교 철학과 02학번이며, 2003년 현재 2학년에 재학중이다. 솔직히 처음엔 철학이 좋아서 이 과를 지원한 것은 아니다. 처음엔 그냥 그런 대학생활을 보냈다. 그러다가 2학기때의 논리학을 수강하면서 왠지 나한테 맞는다는 느낌을 받았고, 그 느낌은 2학년 1학기에 수강한 형이상학을 배우며 확실하게 다가왔다. 나에겐 철학이 맞는 것이었다. 물론 고등학생때 윤리책에 잠깐 실려있는 철학부분을 공부할때 흥미를 느꼈지만, 이정도로 나에게 맞을줄은 생각하지 못했다. 지금은 머릿속에 나만의 철학을 정립중이며, 이는 언젠가 소설을 통해 표출되어질 것이다. 철학과에 대한 오해 가장 많이 하는 오해. 생각보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었다. 그 오해는 바로 철학관때문에 생긴 오해이다. 철학과에 가면 .. 더보기
철학으로 들어가기 철학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길 철학은 인문학의 기초라고 한다. 이는 철학이 매우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플라톤이 최초의 대학을 세우며 분류한 학문에도 제1학문이 철학이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을것이다. 철학을 정의하기란 힘들겠지만, 꼭 정의하자면 '존재에 대한 통일적 탐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최초의 철학자는 누구일까? 바로 세계가 물로 되어있다고 주장한 탈레스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을 물이라는 통일적 주제로 풀려고 한 그의 주장이야말로 철학의 정의에 부합한다. 이후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면서 형이상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철학이 존재에 대한 탐구라면 형이상학은 존재를 존재로서 탐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전체적으로, 또는 맨 처음으로 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다.. 더보기
에니어그램 빠른 자기유형 찾기 ◈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음의 지시사항을 따라 주시길 바랍니다. 1. 다음에 이어지는 두 질문에서 평소 당신의 태도와 행동을 가장 잘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진술을 하나씩만 골라 주십시오 2. 그 진술의 모든 말과 문장에 완전히 동의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80~90% 동의 하는 것을 고르면 됩니다. 그러나 선택한 진술의 전반적인 경향과 ‘철학’에는 동 의하셔야 합니다. 3. 본인의 선택을 분석하려 노력하지 마십시오. 100% 동의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직관에 따라 선택하십시오. 1. 아래 중 당신의 태도와 행동을 가장 잘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것을 하나 고르세요. A. 나는 독립적인 편이고 자기 주장을 잘 한다. 나는 상황에 정면으로 맞설 때 삶이 잘 풀린다고 느낀다. 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일을 추진.. 더보기
에니어그램 입문 사람의 유형을 9가지로 나누기 전에,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장형, 머리형, 가슴형이 그것인데, 이는 주로 쓰는 힘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면,(예일뿐 모두 그런것은 아니다) 아이가 밖에서 맞고 들어왔을 때, 장형인 부모는 아이를 울린 친구를 찾아가 혼내줄 것이고, 머리형인 부모는 우선 왜 우는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물어볼 것이고, 가슴형인 부모는 말없이 아이를 끌어안고 달래줄 것이다. 장형은 8,9,1번 유형이고 가슴형은 2,3,4번 유형이며 마지막으로 머리형은 5,6,7번 유형이다. 각 유형의 성향을 한마디로 압축하면 다음과 같다. 1번유형 - 완벽주의자. 2번유형 - 남을 돕고자 하는 사람. 3번유형 - 성공주의자. 4번유형 - 자신은 특별한 존재. 5번유형 - 모든것을 알고싶어하는 사람. 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