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렌지노의 소리상자 반응형 썸네일형 리스트형 잘못 이해했네요.. 양심적 병역거부가 종교를 이용하여 (특히 여호와증인) 병역을 거부하는 거였었군요. 제가 잘못이해한듯. 전 그 들을 비판해왔었는데, 찬성의 입장에서 논변을 피게 되었군요. 근데 아무도 여기 안들어오시네요-_-;;; 그럼 내일 뵈요. 더보기 화이트궁전 정모후기 짧은 후기를 쓰기에 앞서.. 6시에 도착한 사람은 저 뿐입니다-_-+ 6시10분을 기점으로 있었던 인원은 넷. 인혁이형, 준일이형, 저, 여자친구. 안주 허벌나게 많이 주는;; 탱크에 갔더니 사람이 많아서 일환이형을 만나 성대쪽의 씨앤씨라고 하는 술집에 갔습니다. 맥주와 안주를 시키고 잘 먹었습니다. 역시 술은 이런분위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강요하는 사람 없고 ㅎㅎ 7시가 좀 지나서 호철이, 현정누나가 왔고 또 얼마 후 상우가 왔습니다. 모두 오랜만이라 반가웠고 특히 정말 오랜만에 본 준일이형과 상우는 더더욱 반가웠습니다! 대화주제는.. 초반에는 군대얘기가 지배적이었고; 나중엔 학교얘기; 거기서 나와서는 호철이가 좋아하는; 노래방에 가서 저와 여자친구는 노래를 한곡 씩 하고 얼마 후 먼저 일어났습니다... 더보기 철학토론대회와 스스로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제 1회 대한민국 철학의 날 철학토론대회에 좋은성적을 기원하며, 그보다 더 개개인의 철학과 토론 능력에 많은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더보기 중세철학사 1. psyche에 대한 희랍적 사유와 사도 바울의 견해차를 psyche의 기능적 구조를 통해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간의 구원에 대한 양자의 차이점을 설명하라. 인간의 본질 영혼(psyche)는 이성, 기개, 욕망으로 구분된다. 이성은 판단, 추론능력이고 기개는 감정과 의지이며 욕망은 육체적 욕구를 말한다. 희랍적 사유에서는 이성과 욕구는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영혼을 이끌어가고 기개는 욕구를 이성에 따르게 만든다. 이 복종심은 회귀본능과 정신의 우위에 있다. 이성에 의해 이들이 통제될 때 이성은 지혜의 덕, 기개는 용기의 덕, 욕구는 절제의 덕을 갖는다.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플라톤의 삼분법을 수용했다. 그는 기개는 이성의 지배를 받는 불합리한 부분이며 욕구는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불합리한 부분이라고.. 더보기 마음의 철학 답안 > 더보기 홈페이지는-_- 언제 만드냐; (나도 몰라;) 더보기 인간관계 사람은 이기적인 존재임은 맞는 것 같다. 나보다 다른 사람을 먼저 챙겨주거나 잘 해줄 때는, 그렇게 했을 때, 내가 기분이 좋고 무언가 돌아오는게 있을 수도 있고, 결국 다 같이 좋으면 좋은거니까. 그게 또한 사랑이라면 나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 그래야 내가 더 행복하니까... 역시 자신의 즐거움과 연관지을 수 있겠다. 어차피 많은 사람들 속에 살아가려면, 인간관계도 중요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린 사람들 사이의 크고 작은 마찰속에 살아가고 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많은 것 같다. 그 중 하나가, 타인으로 인한 섣부른 판단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타인에 대한 뒷담화가 그들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렇게 다른사람의 말을 듣고 그 사람을 판단해 버리면, 그.. 더보기 철학으로 들어가기 철학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길 철학은 인문학의 기초라고 한다. 이는 철학이 매우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플라톤이 최초의 대학을 세우며 분류한 학문에도 제1학문이 철학이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을것이다. 철학을 정의하기란 힘들겠지만, 꼭 정의하자면 '존재에 대한 통일적 탐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최초의 철학자는 누구일까? 바로 세계가 물로 되어있다고 주장한 탈레스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을 물이라는 통일적 주제로 풀려고 한 그의 주장이야말로 철학의 정의에 부합한다. 이후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면서 형이상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철학이 존재에 대한 탐구라면 형이상학은 존재를 존재로서 탐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전체적으로, 또는 맨 처음으로 라고 생각해도 될 것이다.. 더보기 이전 1 ··· 419 420 421 422 423 424 425 ··· 445 다음